한국의 고전 인문서는 무엇일까요?
인문학의 싹은 오늘의 한국 인문학을 있게 한 우리 인문서, 인문고전 12선을 소개하고 있어요. 1강 이중환, 《택리지》(1751) 2강 안확, 《조선문명사》(1923) 3강 이여성·김세용, 《숫자조선연구》(1931) 4강 이만규, 《조선교육사》(1947) 5강 박열, 《신조선혁명론》(1948) 6강 신남철, 《역사철학》(1948) 7강 김동석, 《뿌르조아의 인간상》(1949) 8강 백남운, 《쏘련인상》(1950) 9강 배성룡, 《농민독본》(1953) 10강 김태오, 《미학개론》(1955) 11강 홍기문, 《조선신화연구》(1964) 12강 이종하, 《우리 민중의 노동사》(2001) 일리아스 오디세이아 등 인문학 필독서가 있어요. 근데 인문학이 무엇인지부터 모르겠어서 검색을 하다가 인문학의 싹이란 책을 찾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