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책린이

한국의 고전 인문서는 무엇일까요? 인문학의 싹은 오늘의 한국 인문학을 있게 한 우리 인문서, 인문고전 12선을 소개하고 있어요. 1강 이중환, 《택리지》(1751) 2강 안확, 《조선문명사》(1923) 3강 이여성·김세용, 《숫자조선연구》(1931) 4강 이만규, 《조선교육사》(1947) 5강 박열, 《신조선혁명론》(1948) 6강 신남철, 《역사철학》(1948) 7강 김동석, 《뿌르조아의 인간상》(1949) 8강 백남운, 《쏘련인상》(1950) 9강 배성룡, 《농민독본》(1953) 10강 김태오, 《미학개론》(1955) 11강 홍기문, 《조선신화연구》(1964) 12강 이종하, 《우리 민중의 노동사》(2001) 일리아스 오디세이아 등 인문학 필독서가 있어요. 근데 인문학이 무엇인지부터 모르겠어서 검색을 하다가 인문학의 싹이란 책을 찾게.. 더보기
두번째 지구는 없다 * 타일러 라쉬 환경에 관한 책을 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추천을 받은 책이었고 "두 번째 지구는 없다"는 책의 제목도 마음에 들었고 방송에서 관심을 가지고 봤던 타일러 라쉬가 처음으로 낸 책이라는 것도 마음에 들었다. 책은 내 손의 한뼘 크기로 작으며 두께도.. 1cm 되려나.. 얇아서 읽기에 부담도 없어 보였다. 책의 커버도 심플하다. 흰 바탕에 파란색의 타원형의 선 하나가 끝이다. 단순한 선 하나지만 누구나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 수 있다. 책 커버를 만드는 것에도 환경을 생각하며 만들었다고 한다. 타일러 라쉬의 환경에 대한 고민은 최근의 어떤 한 사건을 겪으면서가 아니다. 어렸을 때부터 환경과 밀접한 환경에서 자랐고 커가면서 환경의 변화를 체감하며 자랐기에 우리들 보다, 나보다 더 많은 관심을 갖고 환경을 지킬 .. 더보기